이번 전시회 「십이월의 도전(十二月陶展)」을 위해서 최지만 작가가 본격적으로 달항아리[白磁壺]를 만든 것은 작년 오월부터였다. 늦봄에 시작하여 이듬해 만춘에 끝냈으니 일 년 열두 달의 세월을 모두 담은 것이다. 전시 타이틀 속에 도예전시를 뜻하는 도전(陶展)과 예술에 대한 의지로써의 도전(挑戰)이라는 말이 중첩되어있다. 동아시아에서 일 년 열두 달의 세월은 생장소멸(生長消滅)의 우주법칙을 가장 일상적인 현상 속에서 설명한 철학의 정수(精髓)이다.
최지만 작가는 옛 선비를 연상시킨다. 선비의 본연은 인(仁)에 다가가려 노력해서 인(仁)의 의미를 얻고 다시는 이 세계의 밖으로 나오지 않는 품격을 가리킨다. 인(仁)을 순수한 우리말로 옮기면 사람다움이다. 이 말은 단순히 사람다움에 국한 되지 않는다. 아비는 아비답고 선생은 선생다우며 자식은 자식답고 친구에게 우애를 주고 효(孝)의 의미를 구현해가는 사람이다. 따라서 공자는 “어질고도 사람다운 사람은 걱정이 없는 것이다[仁者不憂].”라고 말했다. 그러나 요즘에 공자가 말하던 인자(仁者)는 온데간데없다. 최지만 작가가 열두 달 동안 흙을 빚고 가마에서 땀 식히며 기다렸던 것은 인자를 닮은 달항아리였다. 혜곡(兮谷) 최순우(崔淳雨, 1916-1984) 선생은 달항아리를 가리켜 순수하고 어리수긋한 아름다움의 결정체라고 설명한 적 있다. 또 무심한 아름다움이라고 표현했다. 나는 이 설명에 반대한다. 달항아리는 조선 최고의 사상에 대한 예술적 표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선성(先聲)의 생생한 생명력은 최지만의 십이월 달항아리 속에서 여전히 가득 울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옛 예술사상의 최고 표현은 ‘문이재도론(文以載道論)’이다. 글은 모름지기 도리[道]를 실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여기서 문(文)이란 단순한 글짓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간의 인의예악(仁義禮樂), 즉 순수한 의지가 지향하는 문화[斯文]를 통칭한다. 도리를 싣지 않는 문화, 예를 들면 일부러 꾸미거나[辭裝] 억지로 문양을 새기는[彫飾] 문화는 배격한다. 그렇다면 도리란 무엇인가? 그것은 사람에 대한 애정[民本]이며 하늘의 이치에 따르는 삶을 살고[參天地] 자연을 공경하는 마음[育萬物]을 가리킨다. 이러한 사람은 어떠한 환난을 처하더라도 비굴하지 않으며 부귀명예에도 위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자는 이야기한다.
어질지 못한 자는 곤경을 진득이 참지 못하고 안락한 환경도 지속하지 못한다. 오로지 어진 사람만이
인(仁)을 편하게 여긴다. <孔子, 「論語」 「里人」: “不仁者, 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安人.”>
사실 문이재도론은 문예사상에서 최상급의 이상주의를 표방한다. 더욱이 달항아리는 그 사상의 시각적 표현이기에 가장 어려운 예술이다. 우리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해와 달은 세계를 운영하고 작동시키는 원리인 천지지심(天地之心)의 눈[目]이었다. 달항아리는 단지 달을 형상화시킨 것이 아니라 세계를 운영하는 원리와 에너지를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예로부터 수많은 도공예술가들이 그것을 만들었고 현대미술가들이 그것의 현대적 변용(transfiguration)을 꾀했지만, 대부분 그 선하(先河)의 연원에 흘렀던 진정한 의미를 망각하면서 작업했다. 그러나 올해 최지만 작가는 우리가 달항아리를 만들었던 근원의 마음을 되찾았다. 작가는 말한다. “일 년 열두 달 작업하는 내내 몸과 마음의 상태가 항아리에 그대로 전해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내가 자연을 공경하지 않을 때 항아리는 나의 의도를 피해버렸습니다. 내가 내 스스로에게 예의를 갖추어 몸을 바르게 하고 마음속에 공경의 뜻이 충색(充塞)했을 때, 그것(달항아리)이 비로소 형체를 허용해주었습니다.” 이는 최지만 작가가 예술의 본질을 심경(心境), 즉 마음의 경지로 파악했다는 뜻이다. 심경론(心境論)은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중요한 예술적 의제였다. 언젠가부터 소홀하게 다루어지면서 멀어졌지만 우리가 다시 발전시켜야 할 논의의 본론이다.
서구 예술의 많은 논의들, 가령 모방론, 표현론, 형식론 등은 예술가의 의도나 파토스를 중시한다. 그것은 예술이라는 관념으로 모험을 감행하는 활극(活劇)이다. 그러나 심경의 논의에서 격정의 파토스는 고요하게 가라앉는다. 오로지 내면의 성실함과 모든 존재를 공경하는 무불경(毋不敬)의 태도, 예술의 기예보다 하늘의 이치를 숭상하는 도본예말(道本藝末)의 정신만이 논의의 표면에 고개를 든다. 최지만 작가는 심경의 정신을 우리에게 선사해준다. 다시 작가는 말한다. “달항아리가 잘 되지 않을 때, 내 마음과 내 몸이 엇나갔음을 알게 됩니다. 반대로 그것이 잘 표현되었을 때, 단지 공기ㆍ흙ㆍ물ㆍ불이 하나같이 고마웠습니다.” 나는 다시 공자의 말을 곱씹어본다. “활을 쏜다는 것은 뜻있는 사람[君子]과 비슷하다. 정곡(正鵠)을 맞추지 못하면 그 원인을 내게서 찾는다.” < 「中庸」 14章: “子曰: 射有似乎君子, 失諸正鵠, 反求諸其身.”> 최지만 작가의 열두 개 형상이 언제나 뇌리에 머무는 이유다. 나는 최지만 작가에게서 인자(仁者)의 뜻을 발견한다.
이진명, 前 대구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월간도예 2021년 8월(Vol. 305)
Comments